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내년 실손의료보험료 평균 7.5% 인상(3세대 20%,4세대 13% 인상)

by 옥동자76 2024. 12. 26.
반응형
반응형

2025년부터 실손의료보험료가 평균 7.5% 인상됩니다. 손해보험협회와 생명보험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는 최근 3년 평균 인상률(8.2%)보다 0.7%포인트 낮은 수준입니다. 그러나 모든 가입자에게 동일한 비율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가입 상품, 연령, 성별, 손해율 등에 따라 인상률은 차이가 있습니다.

 

내년 실손의료보험료 평균 7.5% 인상(3세대 20%,4세대 13% 인상)
내년 실손의료보험료 평균 7.5% 인상(3세대 20%,4세대 13% 인상)


세대별 인상률

  • 1세대: 평균 2%
  • 2세대: 평균 6%
  • 3세대: 평균 20%
  • 4세대: 평균 13%

실손보험은 가입 시기와 조건에 따라 1세대부터 4세대로 구분되며, 세대별로 손해율 차이가 커 인상률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특히, 3세대 실손보험은 평균 인상률이 20%에 달해 가장 높은 증가폭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내년 실손의료보험료 평균 7.5% 인상(3세대 20%,4세대 13% 인상)
내년 실손의료보험료 평균 7.5% 인상(3세대 20%,4세대 13% 인상)


실손보험 세대 구분

실손보험은 가입 시기에 따라 아래와 같이 4세대로 구분됩니다.

  • 1세대: 2009년 9월 이전
  • 2세대: 2009년 10월 ~ 2017년 3월
  • 3세대: 2017년 4월 ~ 2021년 6월
  • 4세대: 2021년 7월 이후

내년 실손의료보험료 평균 7.5% 인상(3세대 20%,4세대 13% 인상)
내년 실손의료보험료 평균 7.5% 인상(3세대 20%,4세대 13% 인상)

 

이러한 구분은 보험사의 손해율을 보정하고, 소비자의 도덕적 해이를 줄이기 위해 도입됐습니다.


보험료 인상 주요 원인

1. 손해율 상승
올해 상반기 손해보험 및 생명보험사의 실손보험 손해율은 118.5%에 달했습니다.
특히, 3세대(149.5%)와 4세대(131.4%)의 손해율이 크게 높았습니다.

 

2. 의료 환경 변화
신의료기술 도입, 의료 이용량 증가 등으로 변동성이 크며, 이에 따라 보험료 산정도 달라집니다.

 

3. 연령 및 위험률 적용
갱신 시점에서 피보험자의 연령과 위험률을 반영해 보험료가 조정됩니다.


갱신 시 보험료 확인 방법

실제 보험료 변동은 보험사가 갱신 시점에 발송하는 ‘보험료 갱신 안내장’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1세대: 3~5년 주기
  • 2세대: 1~3년 주기
  • 3·4세대: 매년 갱신

비급여 제도 개선 필요성

보험업계는 비급여 항목의 과잉 진료가 실손보험 손해율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정부도 실손보험 개혁 방안을 논의 중이나, 진행이 더딘 상황입니다.

내년 실손의료보험료 평균 7.5% 인상(3세대 20%,4세대 13% 인상)
내년 실손의료보험료 평균 7.5% 인상(3세대 20%,4세대 13% 인상)


보험료 변동 폭 제한

보험업법에 따르면, 실손보험의 위험 구분 단위별 보험료 변경 폭은 매년 ±25%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이는 과도한 인상을 방지하고 소비자의 부담을 조정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