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내년 1월부터 청년도약계좌의 정부 기여금이 대폭 확대됩니다. 기존 월 최대 2만 4천 원에서 3만 3천 원으로 증가하며, 5년 만기 시 최대 60만 원을 더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연 9.54%의 적금상품에 가입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며, 정부 지원이 강화된 만큼 청년층의 재산 형성에 더욱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한 정책 금융상품으로, 연소득 7,500만 원 이하 및 가구소득 중위소득 250% 이하인 청년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 가입 기간: 5년(60개월)
- 지원 구조: 납입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 추가 지원 (소득 및 납입 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
- 기본 이자: 5~6%
내년 1월부터 달라지는 점
1. 모든 소득 구간에서 매칭 한도 확대
기존 월 40~60만 원이던 매칭 한도가 70만 원으로 확대됩니다.
- 매칭 비율: 소득 수준에 따라 3.0%~6.0% 적용
2. 소득별 정부 기여금 상세안
-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 월 납입액 최대 40만 원까지 6.0%(최대 2.4만 원), 40~70만 원 구간은 3.0% 매칭
- 연 소득 2,400~3,600만 원: 월 납입액 최대 50만 원까지 4.6%(최대 2.3만 원)
- 연 소득 3,600~4,800만 원: 월 납입액 최대 60만 원까지 3.7%(최대 2.2만 원)
- 연 소득 4,800~6,000만 원: 월 납입액 최대 70만 원까지 3.0%(최대 2.1만 원)
💡 예시: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 청년이 매월 70만 원을 납입하면 기존 2만 4천 원에 추가 9천 원(확대 구간 30만 원 × 3.0%)이 더해져 총 3만 3천 원을 받습니다.
3. 중도 해지 시 혜택 유지 확대
- 가입 3년 이상: 중도 해지 시에도 기여금 60% 및 비과세 혜택 유지
- 연이율 효과: 최대 7.64%
4. 추가 혜택
- 개인 신용점수 가점: 2년 이상 유지 및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5~10점 부여
- 부분 인출 서비스: 내년 하반기부터 납입 원금의 40% 이내에서 가능
가입 신청 및 방법
- 가입 신청 기간:
2025년 1월 2일~1월 10일 (영업일 기준) - 신청 방법: 은행 모바일 앱에서 가능 (NH농협, 신한, 우리, 하나, KB국민 등 주요 은행)
- 계좌 개설 일정:
- 1인 가구 청년: 1월 16일~2월 7일
- 2인 이상 가구 청년: 1월 27일~2월 7일
올해 성과와 내년 예산
2024년 한 해 동안 청년도약계좌 가입자는 총 157만 명에 달했으며, 청년 4명 중 1명 이상이 가입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내년 사업에는 총 3,470억 원의 예산이 배정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로 더 큰 미래 준비하세요!
내년부터 확대되는 정부 지원 혜택을 통해 더 많은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하고, 신용점수 가점 및 비과세 혜택까지 누릴 수 있습니다. 1월부터 시작되는 신청 기간을 놓치지 말고, 금융 기관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게 신청하세요.
반응형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G-패스,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 대중교통 요금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75) | 2024.12.27 |
---|---|
한국 고령자 연금 수령 현황(절반은 월평균 42만 원 이하 수령) (86) | 2024.12.27 |
서학개미의 미국 주식 열풍(증권사별 미국주식 수수료) (88) | 2024.12.26 |
내년 실손의료보험료 평균 7.5% 인상(3세대 20%,4세대 13% 인상) (124) | 2024.12.26 |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로 절세와 자산관리를 동시에! (2024년 세법개정안) (140) | 2024.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