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 이슈

2025학년도 수능 난이도 분석( 높은 난이도로 최상위권 변별력 확보 )

by 옥동자76 2024. 11. 15.
반응형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1월 14일 시행되면서 상위권 수험생들의 변별력을 확보하기 위한 난이도 조절이 주요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특히 의대 정원이 늘어나며 졸업생 등 N수생 응시율이 높아졌고, 정부의 ‘킬러문항 배제’ 방침에도 불구하고 높은 난이도가 유지된 시험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025학년도 수능시험을 마치고 친구들과 기쁨을 표현하고 있다.
2025학년도 수능시험을 마치고 친구들과 기쁨을 표현하고 있다.

 

국어 - 작년보다 쉬우나 변별력 있는 문항

 

국어영역에서는 지난해 수능보다는 쉬웠지만, 9월 모의평가와 유사하거나 더 어려운 수준으로 출제되며 변별력을 확보했습니다. 특히 '서양 과학 및 기술 수용에 관한 견해 비교'(7번 문항)와 '기계 학습과 확산 모델 적용'(13번 문항)이 주요 난이도 있는 문제로 지목되었습니다.

 

수학 - 선택과목 미적분의 변별력 확보

 

수학에서는 지난해 수능보다는 쉬웠지만 중위권을 배려하면서도 상위권을 가리는 데 중점을 둔 출제 경향이 두드러졌습니다. 특히 미적분 영역의 '삼각함수와 합성함수 미분'(30번 문항)이 어려운 문항으로 꼽히며,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영어 - 절대평가이지만 까다로운 빈칸 추론 문제

 

절대평가인 영어영역에서도 상대적으로 쉬운 시험이었으나 빈칸 추론(33번, 34번)과 같은 문제들이 높은 난이도를 보였습니다. EBS는 이 문제들이 종합적 사고를 요구했다고 분석했습니다.

탐구영역 - 전체 성적을 좌우할 핵심 과목

 

탐구영역에서는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지구과학 등의 과목에서 난도가 높은 문제가 출제되며, 상위권 변별력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